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공부/발달, 장애, 신경계8

치료사 커뮤니티 추천 치료사 전용 커뮤니티 최신 연구·세미나·채용 정보 한눈에 요즘 치료사를 위한 좋은 정보가 굉장히 많은데요. 이 정보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어서 참 보기 어려울 때가 있더라고요. 이제는 치료사 전용 커뮤니티 치톡에서 모든 정보 확인하고, 궁금증도 해소해보세요~ 치료사 커뮤니티 '치톡'이란?치료사 커뮤니티 '치톡'은 다양한 분야의 치료사들이 모여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는 온라인 플랫폼입니다.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언어치료사, 놀이치료사, 미술치료사, 특수체육치료사 등 여러 전문 분야의 치료사들이 최신 치료 방법, 임상 사례, 직무 관련 정보를 활발하게 나누며 상호 발전을 도모하고 있는 커뮤니티 사이트이에요~ 치톡의 주요 특징전문 지식 공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모여 있는 공간이기 때문에, 다영역을 다양한 시선으로 볼 수 있는 커뮤니티에요. 타 분야 치료사에게.. 2025. 2. 22.
시각계에 대한 모든 것, 구조, 신경경로, 역할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일상생활 속에서 감각의 오류가 발생했을 때, 감각 중에서 뇌가 가장 의존하는 감각계는 어디인지 아시나요? 바로 시각계입니다. 우리가 지금 이 글을 보고 있는 것도 어떤 세포가 활성화 되어 볼 수 있을까요? 만약, 눈 속 신경이 손상되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요? 그 내용은 아래에서 찾아 보시거나 생각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시각계 요약글은 다른 게시글에 비해서 짧은 편이고, 내용 자체가 어렵지 않게 정리하여 보기 쉬울 거라 예상됩니다. 이 글을 보시고 궁금하셨던 의문점이 많이 해결되길 바랍니다. 시각계에 대한 정리 시작하겠습니다. 시각계 : 윤곽, 콘트라스트, 움직임감지 시야에 의존 多 : 다른감각과 차이 발생 시 시각계 신뢰 시야의 안정된 영상 : 시운동반사(전정동안반사) 간상체(rod) 추상체(.. 2023. 3. 4.
청각계에 모든 것, 구조와 신경경로, 역할, 자극 방법을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내가 눈으로 보지 않아도 주변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파악이 되시죠? 이건 어느 기관의 역할일까요? 바로 청각계의 역할입니다. 청각이 있어 우리가 굳이 눈으로 보지 않아도 들리는 소리만으로 환경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되지요. 그런데 이렇게 소리가 들리기까지의 신경 경로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을까요? 너무나도 궁금하시지 않으신가요! 오늘은 청각계에 대한 정리 자료를 가지고 왔습니다. 지난 자료와 동일하게 저만의 스타일로 정리를 한 자료이다 보니 이 내용을 기반으로 가지치기를 통해 깊이 공부를 하거나 참고하는 용으로 사용하시면 좋겠습니다. 청각계 ⦁외이(음파) → 중이 → 내이 안 활동전위 ⦁수용기 : 내이 안[와우(막구조)], 코르티기관의 유모세포 ⦁소리(음파) → 외이(포착) →.. 2023. 3. 3.
전정감각에 대한 모든 것, 정보전달, 자극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신체 감각은 몇 가지라고 알고 계신가요? 신체 감각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시각, 미각, 촉각, 청각 외에도 전정감각, 고유수용성감각이 있습니다. 오늘은 여기에서 전정감각에 대해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오늘의 신경계에서 인지되는 전정감각에 대한 포스팅은 줄글로 설명하는 것이 아닌 간단한 표현으로 정리한 요약본입니다. 요약본이나 중요한 내용들을 다 담아 내용은 알찰 것입니다. 다만, 저만의 요약 방법에 맞추어 정리했다 보니 개인 스타일에 따라서 이해가 되지 않거나 오히려 유용한 자료가 되는 분도 계실 거라 생각합니다. 전정신경 정보전달 과정 세포체 정보 시상의 외측복측핵(VL), VPL ↓ ↑투사 ↳피질,중심선회(3a)기부, 투사 두정간부(2V) 기부에 섬유 보냄 뇌간 정보신경핵ⓥ(4개의 핵) -같은 .. 2023. 2. 26.
우리 아이 놀이 발달은 잘 성장 중? 놀이의 중요성, 발달 단계, 중재 방법 아이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요? 당연히 먹는 것, 기본적인 보호자와의 애착관계, 생애주기별 발달과업 등이 있겠죠. 세상을 알아가고 기본적인 인지적 능력, 사회성을 향상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바로 놀이입니다. 생애주기별 가장 중요한 과업으로 이야기해보자면, 영아기부터 전학령기에 중요한 것 중 하나는 놀이입니다. 이 나이대 아이들은 놀이를 통해 세상을 알아가고, 기본적인 인지와 사회성을 향상해 갑니다. 놀이, 무엇을 놀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놀이로 정의되는 활동의 공통적인 특징은 '자발성, 창의성, 내적 동기, 기능적 목표 또는 목표의 부재, 긍정적인 영향의 도출(재미, 즐거움, 유쾌함), 자유 선택, 비실제적, 융통성'입니다. OTPF 속 작업의 놀이는 '내적동기에 의해 하고, 내가.. 2023. 2. 14.
우리 아이는 순하고, 혼자 잘 놀았는데 뭔가 이상해요.. 자폐스펙트럼(ASD) 증상 중 하나 영유아기에 자폐스펙트럼 장애인지 알 수 없나요!? 이런 행동을 하는 우리 아이, 혹시 자폐인가요!? 부모님들이 발달 과정에서 간과하는 것이 있습니다. 한참 울음으로 본인의 의사를 표현하고, 힘들어야 할 만 3세 이전의 아이가 돌봄이 필요 없을 정도로 혼자 잘 있다는 것입니다. 자폐스펙트럼 장애(ASD) 성향으로로 치료받고 있는 아이의 보호자가 보고하는 아이의 발달 초반의 모습은 "우리 아이는 정말 순했어요.", "혼자 둬도 어찌나 잘 놀던지!", "제가 하는 놀이는 재미없는지 관심도 없었어요.", "함께 노는 것보다 혼자 노는걸 더 좋아했어요."라고 보고합니다. 혼자 잘 있기에 그냥 두었고, 2-3세가 지나가며 다른 아이들과 다르다는 것을 살짝씩 느끼게 됩니다. 정상 발달을 하던 아이가 퇴행을 하기도 하.. 2022. 8. 15.
728x90
반응형